개인전 문제의 구성과 해결 순서에 따라, IOL 2017년도 개인전 2번 문제인 아부이어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iol-indiv-72.png

문제 정보 파악하기

이 문제는 아부이어의 의미 조합법을 묻는 문제입니다.

☞ 어휘 의미론 문제는 거의 항상 데이터가 순서 없이 제시되기 때문에 통상적인 문제와는 조금 다른 접근법을 요합니다. 미지의 데이터와 한국어 번역을 각각 가능한 만큼 최대한 분석해 놓고, 각 요소의 결합 관계와 등장 횟수 등을 통해 단계적으로 문제를 풀어나가야 합니다. 또한 분석 자체도 쉽지만은 않습니다. 같은 의미도 언어와 문화에 따라 서로 다른 요소들을 조합하여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런 유형의 풀이가 전적으로 창의적인 사고에만 의존하는 것은 아닙니다. 의미 영역에 비해 형태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기반이니만큼, 미지의 데이터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기준으로 추론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다행히도 보통 이 유형의 문제들은 의미 자체의 합성과 파생에 대한 규칙을 설명하라고 요구하지는 않습니다.

언어 정보 파악하기

주석에서 아부이어가 인도네시아에서 사용된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지리나 문화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이 없는 것으로 보아, 그렇게까지 사고의 전환을 요구하는 문제는 아닐 것입니다. (사실 오세아니아 지역의 언어 상황에 대한 사전 지식이 있다면,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지 않는 언어라는 점에서 뉴기니 섬의 언어들과 비슷한 특징을 보일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기는 합니다.) 데이터를 훑어보면 성조 기호로 변별되는 형태가 없으므로 풀이 과정에서는 무시해도 되겠습니다.

한국어 번역 분석하기

다른 번역 문제도 그렇지만 어휘 의미론 문제의 경우 특히 주어진 데이터의 양이 많지 않으므로, 문제 본문뿐 아니라 소문항에서 제시하는 번역들까지도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문제는 어휘 의미론에 집중한다기보다는, 명사구 형태론을 중심으로 의미 조합법도 묻는 문제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의미 범주보다는 소유주에 초점을 맞춰 분류해 봅시다. (소문항에 나온 번역과 데이터는 기울임체로 표시하겠습니다.)

  • 나의 얼굴, 나의 아버지의 얼굴, 나의 바다 
  • 우리의 돼지 (복수) 의 귀 (복수) (우리 각자의 돼지의 귀), 우리의 코 (복수) (우리 각자의 코)
  • 너의 나뭇가지, 너의 어깨, 너의 말 (馬) 의 목, 너의 엄지손가락, 너의 어머니의 아버지
  • 너희의 어머니의 손, 너희의 눈 (目)(복수), 너희의 바다, 너희의 칼
  • 그의 손가락 끝, 그의 칼
  • 자신의 밧줄, 자신의 귀
  • 아버지의 총, 방아쇠, 바닷가, 나무의 윗부분, 돼지

다른 어휘 의미론 문제보다 좀 더 의미 관계가 명료합니다. 그러니 미리 한국어 번역을 분석해 봐도 좋겠습니다. 대명사 소유주를 기호로 대체하고 화살표로 소유 관계를 표시하겠습니다. (의미가 복잡하므로 도표를 그리지는 않습니다.)

  • 1s→얼굴, 1s→아버지→얼굴, 1s→바다
  • 1p→돼지→귀, 1p→코
  • 2s→나뭇가지, 2s→어깨, 2s→말→목, 2s→엄지손가락, 2s→어머니→아버지
  • 2p→어머니→손, 2p→눈, 2p→바다, 2p→칼
  • 3s→손가락끝, 3s→칼
  • self→밧줄, self→귀
  • 아버지→총, 방아쇠, 바닷가, 나무→윗부분, 돼지

대명사 소유주가 없는 ‘아버지의 총’이 가장 특이합니다. 문제에서 처음 준 데이터에는 ‘아버지’가 여기에서만 나타나며, ‘총’ 역시 ‘방아쇠’를 제외하고는 들어갈 만한 의미가 없습니다. 이후 데이터를 분석할 때 이 점을 눈여겨보아야 하겠습니다.

미지의 데이터 분석하기

한국어 번역과 마찬가지로 소문항에서 제시하는 데이터까지 나열해 보겠습니다. 한 단어와 두 단어짜리 구를 구별하여 알파벳 순으로 제시합니다.

  • abang, amin, dekafi, helui, napong, rièng, ritama, tamin
  • atáng heya, bataa hawata, deya hebataa, ebataa hatáng, ekuda hawata, falepak hawei, hatáng hamin, maama hefalepak, riya hatáng, tama habang, tefe hawei

단일어 형태로 나타날 만한 의미가 거의 없으므로, 공통된 부분을 비교하여 분석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가장 먼저 눈여겨볼 부분은 bataa, ebataa, hebataa와 같이 한쪽에 요소를 추가하여 다른 쪽이 되는 관계입니다. 일단 bataa와 e-, he-를 분석해낼 수 있습니다. (he-가 h- + e-인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같은 방식으로 tama와 ri-도 분석됩니다. 이렇게 얻은 ‘확실한’ 요소들을 가지고 분석할 때에도 신중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riya는 heya(와 deya)가 있기 때문에 ri-ya로 분석해도 무난하지만, rièng은 비교 검증할 단어가 없어 보류하는 식입니다. 이런 식으로 한 차례 분석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abang, amin, de-kafi, helui, napong, rièng, ri-tama, t-amin
  • atáng he-ya, bataa hawata, de-ya he-bataa, e-bataa h-atáng, ekuda hawata, falepak hawei, h-atáng h-amin, maama he-falepak, ri-ya h-atáng, tama h-abang, tefe hawei

하지만  이 정도 분석으로는 문제를 풀 수 없습니다. 다시 한 번 데이터를 살펴봅시다. 합성어의 두 번째 요소는 전부 h로 시작합니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몰라도, he-를 h-e-로 분석해도 되겠습니다. 그렇다면 e-는 보이지 않는 접두사가 붙은 ∅-e-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 합성어의 두 번째 요소는 h 뒤에 e가 아니면 a가 옵니다. a- 역시 접두사로 분석 가능합니다. 단일어로 나타날 만한 의미가 없으므로 helui, napong, rièng 역시 분석해도 괜찮겠습니다. ekuda와 tefe는 좀 애매합니다. 두 번째 분석을 마치면 다음과 같습니다.

  • ∅-a-bang, ∅-a-min, d-e-kafi, h-e-lui, n-a-pong, ri-èng, ri-tama, t-a-min
  • ∅-a-táng h-e-ya, bataa h-a-wata, d-e-ya h-e-bataa, ∅-e-bataa h-a-táng, ekuda h-a-wata, falepak h-a-wei, h-a-táng h-a-min, maama h-e-falepak, ri-ya h-a-táng, tama h-a-bang, tefe h-a-wei

이제 분석된 데이터를 기호로 나타내 봅시다. (번역과 마찬가지로 구조가 복잡하여 도표는 그리지 않습니다.) 합성어의 두 번째 요소는 어차피 h-로 시작하니 이 점은 무시하고, 단어에 붙는 두 번째 접두사가 e- 아니면 a-이므로 각 단어에 색깔로 표시하겠습니다.

  • ∅→bang, ∅→min, d→kafi, h→lui, n→pong, ri→èng, ri→tama, t→min
  • ∅→tángya, bataa→wata, d→yabataa, ∅→bataatáng, ekuda→wata, falepak→wei, h→tángmin, maama→falepak, ri→ya→táng, tama→bang, tefe→wei

한층 명료해졌습니다. 또 같은 단어는 한 가지 색깔로만 나타난다(즉 단어에 따라 e-나 a- 중 하나가 붙는다)는 사실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이제 번역과 짝을 맞춰 보기 위해 소문항에서 제시된 데이터는 빼고 접두사에 따라 분류하겠습니다.

  • ∅→bang, ∅→táng→ya, ∅→bataa→táng
  • d→kafi
  • h→lui, h→táng→min
  • n→pong
  • ri→èng, ri→tama, ri→ya→táng
  • t→min
  • bataa→wata, ekuda→wata, falepak→wei, maama→falepak, tama→bang, tefe→wei

앞서 대명사 소유주에 따라 분류한 한국어 번역과 겹쳐 봅시다. 역시 소문항 데이터는 뺍니다.

  • 1s→얼굴
  • 1p→돼지→귀, 1p→코
  • 2s→나뭇가지, 2s→어깨, 2s→말→목, 2s→엄지손가락
  • 2p→어머니→손, 2p→눈, 2p→바다
  • 3s→손가락끝, 3s→칼
  • self→밧줄
  • 아버지→총, 방아쇠, 바닷가, 나무→윗부분

첫 번째 접두사는 대명사 소유주를 의미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어 번역에서는 2인칭 단수 소유주(‘너의’)를 갖는 의미가 네 개인데 반해, 넷 이상의 단어에 붙은 접두사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접두사가 붙지 않은 것으로 일단 분석한 ekuda나 tefe가 더 분석이 가능한 것입니다. ekuda를 ∅-e-kuda, 즉 ∅→kuda로 분석하면 ∅-가 ‘너의’에 해당한다는 것이 확실해집니다. 다음으로 세 번 등장하는 ri-가 ‘너희의’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두 번 등장하는 접두사가 두 가지 있어야 하므로 tefe 역시 t→fe로 분석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두 번 등장하는 t-와 h-는 각각 무슨 뜻일까요? 두 가지 방법으로 추론할 수 있습니다. 먼저 두 접두사가 들어간 단어들 중 h→táng→min과 t→min이 min을 공유한다는 사실입니다. ‘귀’와 ‘코’는 기초적인 신체 부위이므로, ‘돼지의 귀’를 ‘돼지의 칼’과 같이 나타내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니 ‘손가락 끝’을 ‘A의 코’로 나타낸다고 보아야 합니다. min은 ‘코’이고, t-는 ‘우리의’, h는 ‘그의’가 됩니다. 또한 합성어의 두 번째 요소 앞에 소유 표지와 동일한 h-가 항상 붙는 현상은, 합성어에서 앞 요소(명사이므로 3인칭인 것은 당연합니다)가 뒤 요소를 소유하는 관계이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합성어의 구조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습니다. 이제 중간 점검을 해봅시다.

  • 1p: t→min, t→fe→wei
  • 2s: ∅→bang, ∅→táng→ya, ∅→bataa→táng, ∅→kuda→wata
  • 2p: ri→èng, ri→tama, ri→ya→táng
  • 3s: h→lui, h→táng→min
  • d→kafi; n→pong
  • bataa→wata, falepak→wei, maama→falepak, tama→bang

fe는 ‘돼지’, wei는 ‘귀’, lui는 ‘칼’입니다. 대명사 소유주가 없는 falepak→wei에 wei가 쓰였지만 어떤 의미인지 알기 어렵습니다. falepak은 역시 대명사 소유주가 없는 maama→falepak에도 나타납니다. 나머지 대명사 소유주가 없는 어구들은 공유하는 요소가 없습니다. 아까 한국어 번역을 미리 분석할 때의 ‘아버지의 총’과 ‘방아쇠’의 연관성을 떠올려 봅시다. maama는 ‘아버지’, falepak은 ‘총’이고, 아부이어에서는 ‘방아쇠’를 ‘총의 귀’로 표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왜 그런지 의아하다면, 문제에서 제시된 그림을 다시 한 번 보도록 합시다.

‘손가락 끝’ = ‘A의 코’ 문제로 돌아가서, A에 해당하는 táng이 또 어디에서 나오는지를 살펴봅시다. 서로 소유 관계가 반대인 ∅→táng→ya ‘너의 A의 B’와 ri→ya→táng ‘너희의 B의 A’가 좋은 시작점이 될 것 같습니다. ri→ya→táng은 ‘너희의 어머니의 손’이겠고, ‘손’은 기초적인 신체 부위이므로 táng을 ‘손’으로 보면 되겠습니다. ya는 ‘어머니’이며, 아부이어에서는 ‘엄지손가락’을 ‘손의 어머니’로 표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2인칭 단수 소유주를 가진 ∅→bataa→táng에도 táng이 들어갑니다. ‘어깨’와 ‘나뭇가지’ 중 하나가 ‘C의 손’으로 표현되어야 합니다. ‘손’과 ‘팔’을 구분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기에 ‘손의 C’였다면 ‘어깨’가 고려 대상이 되겠지만, 구조상 ‘나뭇가지’를 ‘나무의 손’으로 표현한다고 보는 것이 맞겠습니다. 적당히 기초적인 신체 부위인 ‘어깨’는 bang이라는 단일어, bataa는 ‘나무’, 그리고 kuda는 ‘말’, wata는 ‘목’입니다.

wata는 bataa→wata ‘나무의 목’ = ‘나무의 윗부분’에도 나타나고, 따라서 tama→bang이 ‘바닷가’입니다. ri→tama ‘너희의 바다’의 존재로 미루어 tama는 ‘바다’이고, èng은 ‘눈’이 됩니다. ‘바닷가’를 ‘바다의 어깨’로 표현하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이제 남은 문제는 두 가지입니다.

  1. n-과 d- 중 무엇이 ‘나의’이고 무엇이 ‘자신의’인지
  2. 각 명사마다 a-나 e-가 선택되는 규칙

단어의 의미(‘밧줄’과 ‘얼굴’)만 가지고는 1번 문제를 도무지 해결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2번 문제와 관련이 있다고 추측할 수 있는데, 마침 pong은 a-, kafi는 e-가 붙습니다. a-가 붙는 단어와 e-가 붙는 단어를 각각 나열해 봅시다.

  • a-: bang ‘어깨’, min ‘코’, pong, táng ‘손’, wata ‘목’, wei ‘귀’
  • e-: kafi, lui ‘칼’, ya ‘어머니’, bataa ‘나무’, kuda ‘말’, falepak ‘총’, fe ‘돼지’
  • 알 수 없음: èng ‘눈’, tama ‘바다’, maama ‘아버지’

a-가 붙는 단어는 신체 부위이고, 나머지 단어에는 e-가 붙는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 èng에는 a-, tama와 maama에는 e-가 붙는다고 추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얼굴’에 해당하는 단어는 a-, ‘밧줄’에 해당하는 단어는 e-가 붙을 테니 d-e-kafi가 ‘자신의 밧줄’, n-a-pong이 ‘나의 얼굴’이 됩니다. n-는 1인칭 단수 소유주(‘나의’), d-는 재귀 소유주(‘자신의’)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함과 동시에 짝을 모두 찾았습니다.

규칙 정리하기

풀이 과정에서 합성어 어순 규칙과 단어 구조 규칙을 알아냈고,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어순: 소유주가 소유 대상 앞에 온다.
  2. 소유주가 대명사인 경우 다음과 같은 접두사로 나타난다.
     소유주의 인칭과 수  소유 대상의 부류
     n-  1인칭 단수 (‘나의’)  a- 신체 부위
     ∅-  2인칭 단수 (‘너의’)
     h-  3인칭 단수 (‘그의’)
     t-  1인칭 복수

    (‘우리 각자의’)

     e-  나머지
     d-  재귀 (‘자신의’)
     ri-  2인칭 복수 (‘너희의’) (소유주가 2인칭 복수이면 붙지 않음)
  3. 소유주가 명사인 경우 소유 대상에 3인칭 소유주 접두사를 붙인다.

번역하기

각 단어 및 어구와 그 한국어 번역을 짝 맞춰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각괄호 안의 직역은 답안 작성시 필수적인 부분은 아닙니다.)

  1. a-bang                      e. 너의 어깨
  2. a-táng he-ya            p. 너의 엄지손가락 [‘너의 손의 어머니’]
  3. bataa ha-wata        o. 나무의 윗부분 [‘나무의 목’]
  4. de-kafi                      d. 자신의 밧줄
  5. e-bataa ha-táng      b. 너의 나뭇가지 [‘너의 나무의 손’]
  6. e-kuda ha-wata       i. 너의 말 (馬) 의 목
  7. falepak ha-wei        j. 방아쇠 [‘총의 귀’]
  8. ha-táng ha-min       a. 그의 손가락 끝 [‘그의 손의 코’]
  9. he-lui                        m. 그의 칼
  10. maama he-falepak  h. 아버지의 총
  11. na-pong                     c. 나의 얼굴
  12. ri-èng                         k. 너희의 눈 (目)(복수)
  13. ri-tama                      q. 너희의 바다
  14. ri-ya ha-táng             f. 너희의 어머니의 손
  15. tama ha-bang           n. 바닷가 [‘바다의 어깨’]
  16. ta-min                         l. 우리의 코 (복수) (우리 각자의 코)
  17.  te-fe ha-wei              g. 우리의 돼지 (복수) 의 귀 (복수) (우리 각자의 돼지의 귀)

소문항 (b)는 아부이어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문제입니다. 규칙에 맞춰 번역해 봅시다.

  1. amin = a-min = ∅-a-min ‘너의 코’
  2. deya hebataa = de-ya he-bataa = d-e-ya h-e-bataa ‘자신의 어머니의 나무’

소문항 (c)는 한국어를 아부이어로 번역하는 문제입니다. 규칙에 맞춰 번역해 봅시다.

  1. 돼지 = fe
  2. 너희의 칼 = ri-lui = rilui
  3. 너의 어머니의 아버지 = ∅-e-ya h-e-maama = eya hemaama
  4. 나의 아버지의 얼굴 = n-e-maama h-a-pong = nemaama hapong
  5. 자신의 귀 = d-a-wei = dawei
  6. 나의 바다 = n-e-tama = netama

Tags:

답글이 없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